반응형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요율, 왜 중요한가요?
산업안전보건비는
건설업 등 산업현장에서
안전에 대해 꼭 사용해야만 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건설업에 종사하고 계신 분들은 계약에 발생되는 필수 비용이니
계상기준을 잘 알아두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산업안전보건비 계상기준과 적용대상 한눈에 보기
산업안전보건비 계상기준은
산업안전보건법 제30조에 따라
건설업, 선박건조·수리업 등
공사계약을 체결할 때
반드시 계상해야 합니다.
- 대상 : 총공사금액 2천만 원 이상
- 계산 : 직접재료비, 간접재료비, 직접노무비의 합
이 금액이 바로
산업안전보건비를 적용하는
기초 금액이 됩니다.
반응형
산업안전보건비 요율표 정리
공사 종류와 금액에 따라 요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아래 표를 참고해 정확하게 계상해 보세요.
공사종류 | 5억 미만 | 5억~50억 미만(기초액) | 50억 이상 | 안전보건조정자 |
건축공사 | 3.11% | 2.28% (4,325,000원) | 2.37% | 2.64% |
토목공사 | 3.15% | 2.53% (3,300,000원) | 2.60% | 2.73% |
중건설공사 | 3.64% | 3.05% (2,975,000원) | 3.11% | 3.39% |
특수건설공사 | 2.07% | 1.59% (2,450,000원) | 1.64% | 1.78% |
특수건설공사는
준설공사, 조경공사,
택지조성공사, 포장공사,
전기공사, 정보통신공사 등이 포함됩니다.
※ 공사금액 : 재료비 + 직접노무비
산업안전보건비 산출 예시
실제 예시를 들어
산업안전보건비 산출법을 설명드려보겠습니다.
- 재료비: 250,000,000
- 발주자 제공 재료비: 350,000,000
- 직접노무비: 200,000,000
- 대상액: 800,000,000(5억~50억 미만)
산업안전보건비 계산 방법
→ 800,000,000 × 0.0228 + 4,325 = 22,565,000원
반응형
산업안전보건비, 꼭 지켜야 할 3가지 핵심포인트
- 산업안전보건비는
법정 기준보다 낮게 계상하면 안 됩니다. - 계상된 비용은
반드시 안전관리 목적에만 사용 - 특수건설공사는
분리 발주, 독립 시만 요율 적용.
산업안전보건비, 현장 적용 시 주의사항
산업안전보건비는
공사현장 안전을 위해 발생하는
필수 비용임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산업안전보건비 계상기준과 요율표만 잘 챙기셔도
회사에서 에이스가 되실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
'나라장터뿌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자 외자, 나라장터와 조달청에서 꼭 알아야 할 기준 (1) | 2025.04.26 |
---|---|
나라장터 공동수급협정서,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0) | 2025.04.24 |
소액수의계약 제대로 알기! 전문공사부터 여성기업까지 총정리 (0) | 2025.04.21 |
수의시담 뜻부터 절차까지! 이 글만 보면 100% 이해 가능! (0) | 2025.04.20 |
복수예가 핵심 개념 정리[입찰 전 꼭 알아야 할 꿀팁]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