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라장터뿌시기

산업안전보건비, 꼭 알아야 할 계상기준과 요율 정리

by 열정의얼죽아-_- 2025. 4. 23.
반응형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요율, 왜 중요한가요?

 

 

산업안전보건비는
건설업 등 산업현장에서
안전에 대해 꼭 사용해야만 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건설업에 종사하고 계신 분들은 계약에 발생되는 필수 비용이니
계상기준을 잘 알아두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산업안전보건비 계상기준과 적용대상 한눈에 보기

 

산업안전보건비 계상기준
산업안전보건법 제30조에 따라
건설업, 선박건조·수리업 등
공사계약을 체결할 때
반드시 계상해야 합니다.

 

  • 대상 : 총공사금액 2천만 원 이상
  • 계산 : 직접재료비, 간접재료비, 직접노무비의 합

 

이 금액이 바로
산업안전보건비를 적용하는
기초 금액이 됩니다.

 

반응형

 


 

 

산업안전보건비 요율표 정리

 

공사 종류와 금액에 따라 요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아래 표를 참고해 정확하게 계상해 보세요.

공사종류 5억 미만 5억~50억 미만(기초액) 50억 이상 안전보건조정자
건축공사 3.11% 2.28% (4,325,000원) 2.37% 2.64%
토목공사 3.15% 2.53% (3,300,000원) 2.60% 2.73%
중건설공사 3.64% 3.05% (2,975,000원) 3.11% 3.39%
특수건설공사 2.07% 1.59% (2,450,000원) 1.64% 1.78%

 

특수건설공사는
준설공사, 조경공사,
택지조성공사, 포장공사,
전기공사, 정보통신공사 등이 포함됩니다.

 

 

※ 공사금액 : 재료비 + 직접노무비

 

 


 

 

산업안전보건비 산출 예시

 

실제 예시를 들어
산업안전보건비 산출법을 설명드려보겠습니다.

 

  • 재료비: 250,000,000
  • 발주자 제공 재료비: 350,000,000
  • 직접노무비: 200,000,000
  • 대상액: 800,000,000(5억~50억 미만)

 

산업안전보건비 계산 방법
→ 800,000,000 × 0.0228 + 4,325 = 22,565,000원

 

 

반응형

 


 

 

산업안전보건비, 꼭 지켜야 할 3가지 핵심포인트

 

  1. 산업안전보건비는
    법정 기준보다 낮게 계상하면 안 됩니다.
  2. 계상된 비용은
    반드시 안전관리 목적에만 사용

  3. 특수건설공사는
    분리 발주, 독립 시만 요율 적용.

 


 

 

산업안전보건비, 현장 적용 시 주의사항


산업안전보건비는
공사현장 안전을 위해 발생하는
필수 비용임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산업안전보건비 계상기준 요율표만 잘 챙기셔도
회사에서 에이스가 되실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