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시담 뜻, 제대로 알고 계셨나요?
공공기관 계약을 준비하시다 보면
수의시담 뜻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 많으실 겁니다.
수의시담이란 조달청이나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계약 체결 전 금액과 조건을 협의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계약 대상 업체는 이미 선정됐지만,
최종 계약 전에 한 번 더 협의 자리를 마련하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의시담 절차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수의시담 뜻을 정확히 이해하려면
절차도 함께 알아두시는 게 좋습니다.
🔹1단계: 계약 결정
조달청이나 지자체가 계약 진행을 결정
🔹2단계: 계약 대상 업체 선정
조건에 맞는 업체들 중 한 곳을 선정
🔹3단계: 수의시담 요청
선정된 업체에게 수의시담에 참여하라고 요청
🔹4단계: 금액·조건 협의
계약 금액과 조건을 양측이 협의
🔹5단계: 최종 계약 체결
모든 조건에 동의하면 정식 계약이 체결
위 과정이 바로 수의시담을 통한 계약 방식의 절차입니다.
수의시담, 왜 필요할까요?
수의시담 뜻을 알았다면
"이걸 왜 하는 걸까?"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법적 절차를 지키면서 협상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복잡한 입찰 없이
업체와 계약 조건을 유연하게 합의할 수 있습니다.
수의시담이 지키는 법적 근거는?
수의시담은 ‘국가계약법’과 ‘지방계약법’을 준수하기 위한 절차입니다.
1️⃣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국가계약법)
- 제7조(수의계약의 요건)
→ 수의계약이 가능한 경우와 조건을 명확히 규정 - 시담은 이 조건 안에서
계약 상대자와 금액과 조건을 협의함으로써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절차입니다.
2️⃣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지방계약법)
- 제9조 및 시행령 제25조
→ 지자체도 수의계약이 가능하다고 규정되어 있지만,
아무 때나 할 수 있는 게 아니라
공정한 기준과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때 수의시담이 바로 그 기준과 절차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수의시담과 수의계약, 어떻게 다를까?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는 다르답니다.
- 수의시담:
업체는 이미 정해졌고,
계약 체결 전 금액과 조건을 협의해요. - 수의계약:
입찰 없이 특정 업체와 바로 계약해요.
협의가 생략되기도 하죠.
즉, 수의시담 수의계약은
진행 방식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수의시담 뜻부터
절차, 필요성, 수의계약과의 차이점, 장단점까지
꼼꼼하게 설명해 보았습니다.
특히 나라장터 수의시담을 대상이 되는 기업에 다니신다면
이런 내용을 알고 계시는 게 정말 도움이 되실 겁니다.
'나라장터뿌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자 외자, 나라장터와 조달청에서 꼭 알아야 할 기준 (1) | 2025.04.26 |
---|---|
나라장터 공동수급협정서,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0) | 2025.04.24 |
산업안전보건비, 꼭 알아야 할 계상기준과 요율 정리 (0) | 2025.04.23 |
소액수의계약 제대로 알기! 전문공사부터 여성기업까지 총정리 (0) | 2025.04.21 |
복수예가 핵심 개념 정리[입찰 전 꼭 알아야 할 꿀팁]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