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관련정보

S&P500이란 무엇인가? S&P500 ETF SPY, IVV, VOO 차이점 정리📊

by 열정의얼죽아-_- 2024. 12. 19.
반응형

오늘은 미국 경제의 건강 상태를 가장 잘 보여주는 지수, S&P500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뿐만 아니라, S&P500 ETF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SPY, IVV, VOO의 특징과 차이점도 깔끔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S&P500이란?

S&P500은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500개 대형 기업의 주가를 기준으로 만든 주가지수입니다.
1957년에 처음 도입되었고, Standard & Poor’s라는 회사가 관리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S&P500은 미국 경제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S&P500의 특징과 중요성

이 지수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같은 세계적인 기업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미국의 다양한 산업군을 아우르며, 미국 경제를 가장 잘 나타내줍니다.
장기적으로 S&P500은 연평균 약 10%의 수익률을 보여줬습니다.
1957년부터 2024년 12월까지 S&P500의 누적 수익률은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하며
장기 투자 성공의 열쇠”로 알려져 있습니다.

 


S&P500 ETF란 무엇일까?

S&P500 ETF는 **S&P500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뜻합니다.
ETF란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사고팔 수 있는 펀드입니다.
이 ETF를 통해 S&P500 지수에 포함된 500개 기업을 한 번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S&P500 ETF로는 SPY, IVV, VOO가 있습니다.
이 ETF들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투자 상품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S&P500 ETF 대표 상품 비교: SPY, IVV, VOO

SPY (SPDR S&P 500 ETF Trust)

출시 연도: 1993년
운용사: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특징:

최초의 S&P500 ETF로, 거래량이 가장 많아 유동성이 높습니다.
단점이라면 다른 ETF에 비해 운영비용(Expense Ratio)이 조금 높은 편에 속합니다. (0.09%)

 

IVV (iShares Core S&P 500 ETF)

출시 연도: 2000년
운용사: BlackRock
특징:

SPY보다 낮은 운영비용(0.03%)으로 장기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거래량은 SPY보다 적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VOO (Vanguard S&P 500 ETF)

출시 연도: 2010년
운용사: Vanguard
특징:

가장 저렴한 운영비용(0.03%)을 자랑하며, 장기 투자에 최적화된 상품입니다.
소액 투자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SPY, IVV, VOO의 차이점 정리표

항목 SPY IVV VOO
출시 연도 1993년 2000년 2010년
운용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BlackRock Vanguard
운영비용(%) 0.09 0.03 0.03
거래량 매우높음 높음 보통
유동성 매우높음 높음 보통
투자스타일 단기투자 장기투자 장기투자
금액단위 고액투자적합 고액투자적합 소액투자적합
장점 거래량이 많아 매수, 매도가 쉬움 낲은 비용으로 안정적인 투자 가능 가장 저렴한 비용, 소액투자유리
단점 운용비용 높음 거래량이 SPY보다 적음 거래량이 SPY보다 적고
비교적 신규

SPY, IVV, VOO 선택 기준

모든 ETF는 S&P500 지수를 동일하게 추종하기 때문에
구성 종목과 성과는 비슷합니다.


다만, 본인의 투자 스타일에 따라 선택지가 달라집니다.

단기 투자: SPY는 거래량이 많아 단기 거래가 용이합니다.
장기 투자: IVVVOO는 운영비용이 낮아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리합니다.
비용 절감 우선: VOO는 가장 저렴한 운영비용을 제공하며 소액 투자자들에게 좋은 상품입니다.

 


결론

S&P500과 그 ETF는 항상 우상향 해왔던 자산으로 장기적인 투자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역사적으로 꾸준한 성장과 안정성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길 원하신다면 S&P500 ETF에 꼭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